사찰방문기 100

남원 보현사 20240225

전라북도 남원시 보절면 만행산(萬行山)에 있는 사찰 ( 전북 남원시 보절면 도룡리 )로서 한국불교 태고종에 소속된 사찰이다 고려 충렬왕32년에 만항(萬恒)이 짓기 시작하여 1314(충숙왕 1)에 완공하였다.고한다 하나 지금있는 사찰은 1973년에 이르러 법당과 요사체를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보현사는 용평제 저수지 바로 위에 있어서 호수 공원같은 곳에 위치하여 풍광이 정말 뛰어나고 이어 우측으로 이어지는 산길이자 임도가 있어 외부인들이 찿아와 조용히 명상하고 산책하는 그런 모습이 그려진다 그리고 임도로 올라가면 많은 소나무가 곳곳하게 잘자라 소나무 풍경이 너무나 아름다웠다 만행산을 산행하고 내려오는 길에 마침 보현사가 용평제 저수지 북쪽에 맞다아 있어 쉽게 안으로 들어가 보니 경내 불상과 여러조각상들이..

사찰방문기 2024.02.28

향일암 방문기 20240224

여수 남쪽에 위치한 향일암은 양양 낙산사, 남해 보리암, 강화 보문사와 더불어 우리나라 4대 해수관음기도 도량으로 꼽힌다. 이곳은 해상 일출을 마음껏 즐길 수 있는 곳이며 그 위치와 일본에 항일 하기 위함 암자라는 식의 부르게 되었고 향일암이라고 부르기 시작한 것은 이곳에서 볼 수 있는 해 뜨는 모습이 아름답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향일암은 1961년이후부터 법당과 취성루등을 지었고 종각과 칠성각, 1986년에는 대웅전을, 1987년에 삼성각을, 1990년에 용왕전을, 1991년에 관음전을 중건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그리고 절뒷산 정상부근에는 흔들바위도 있다 이처럼 향일암은 오랜 유구한 역사를 간직하여 절일 원 전체가 전라남도 문화재로 제40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사실 향일암은 IMF위기..

사찰방문기 2024.02.28

조계사 방문기 20240218

조계사는 12월 말에도 갔었는데 오늘 또 조계사를 찾았다 서울 한복판 광화문 근처에 있고 우리나라 조계종 총본산이 조계사이라고 하여 다시 한번 더 찾아보게 된다 조계사는 조계사는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조계종의 총본산으로 대중과 더불어 사는 세상을 추구하는 대승의 보살정신이 살아 숨 쉬는 공간입니다. 조계사는 서울 도심 한복판에 위치하고 대중교통이 잘 연결되는 통로와 같은 지점에 있어 언제 어느 때 와도 힐링이 되는 장소이다 인사동 거리를 지나 조계사로 들어서니 멀리 회화나무 나무에 연등이 걸려있고 그리고 주변이 온통 건물들이 들어선 한가운데 우뚝 솟아 도심의 허파와 같은 그런 공간이었다 내가 방문한 2024년 2월 18일 대웅전 안에 들어서니 대웅전 내부에는 불자들로 꽉 차 있어 간신히 참배 인사를 드리고..

사찰방문기 2024.02.20

영각사 (함양) 방문기 20240128

영각사라는 사찰은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 상남리 104 위치에 있는 사찰이다 건립연댄 삼국시대로 추정된다고 하며 깊은 역사만큼이나 영각사 사찰에 고려조선을 이어지며 불교 관련 경전서적이 발행하여 인근 전라도와 경상도에 불교 경정과 불교관련 도서가 발행되었던 유서 깊은 사찰이다 영각사를 찿기전에는 그저 함양에 있는 사찰이라는 것만으로 영각사를 알게 되었는데 영가사 해탈문을 들어서자 나타나는 옛 목재 건축물인 구광루가 예전 모습대로 단청 없이 6-25 전쟁 중에도 소실되지 않고 온전히 보존하고 있고 기둥이 자연그대로 구부러진 채로 세워져 있고 1층은 스님들의 요사채로 사용되고 2층 누각은 사찰의 가종 행사를 하였을 것으로 추적해 본다 조금 사찰아래에서 좌측으로 하여 오르니 대용량의 석조로 돤 음수대가 놓여 ..

사찰방문기 2024.01.31

수덕사 20231230

예산 수덕사는 비구니 사찰로 널리 아려진 사찰이다 예전에 한번 다녀간 적이 있지만 당진에 일이 있어 주변 사찰을 물색하던 중 수덕사를 찾아가게 되었다 수덕사는 고려시대 창건되었고 백제시대에는 중창 불사하고 조선시대에는 경허스님이 거처하시던 사찰이다 이날 오전에 눈과 비가 내려 교통이 좋지않아 꺼리다가 이곳 지방을 꼭 가야 하였기에 길을 나섰는다 기후영향으로 그런지 고속도로는 전혀 밀리지 않고 다녀올수 있었다 이곳도 오늘 수덕사를 방문하라는 부처님의 마음으로 즐겁게 이사찰을 들러보게 되었다 사찰 입구 일주문이 4개의 단일기둥 위에 세워진 것이 특징이다 아마도 이런 기둥으로 아랫부분을 바치고 그 위에 건축을 한 것이 이곳 수덕사 일주문의 특징인 것 같다 역사가 있는 사찰이라 입구에는 박물과 과 미술관이 있고..

사찰방문기 2024.01.02

와우 정사(용인) 20240101

2024년 새해를 맞이하여 용인에 있는 와우정사를 찾게 되었다 와우정사는 역사는 길지 않지만 이색 있는 불교상과 네팔의 불교상이 있고 또한 누어있는 부처님을 알게 된 사찰이다 그래서 예전에 한번 가보고 모처럼 이 절의 이색적인 불교조형물과 탑등을 보고 싶어 이사찰에서 새해기원과 함께 새출발을 하게되었다 일단 사찰입구 주차장에서 부처님의 두상이 크게한 형상이 주변을 압도한다 그리고 두상전 앞에 연못이 있고 그리고 두 상전 앞에 외국인들이 양초에 소원을 기원하는 양초촛불공양을 (큰 양초 1개 5000원)을 내고 우리도 부처님 전에 작은 새해 소망성취 기원을 하고 촛불을 밝혔다 이어 이어지는 두상전 뒤에는 누어계시는 부처님을 와불 전에 새로 모시게 위해서 보시 동참을 바라는 공동모금을 한다는 내용이 있다 그리..

사찰방문기 2024.01.02

운문사 방문기 20231207

경북 청도에 운문사라는 사찰이 있다는 것을 듣기만 했지 실제로 사찰을 방문하는 이번이 처음이다 대개 사찰이름이 사찰이 있는 산이름에서 유래되어 여기 운문사도 운문산에서 유래 된것이 아닌가 한다 운문사 도착시간이 오후 2시경이 이었는데 평일 오후라 사찰내에는 관람하는 이가 매우 드물고 아주 한적하고 평지에 있는 아주 조용하고 아늑한 사찰이 었다 사찰 입구로 들어서니 우측에 키가 작고 소나무가 처진가지를 드러 내며 늘어진 소나무가 눈에 띈다 원래 처진 소나무는 우리나라 품종이라 하는데 이곳에 이렇게 키가 낮고 마치 큰 원형의 형태를 이룬 대형(처진 소나무가 보호수로 보후 되고 있다 참 신기하고 주변 사찰 정원과 잘 어울리는 자연의 조화스러움에 한참을 살펴보게 되었다 운문사 처진 소나무 1966년 8월 25일..

사찰방문기 2023.12.19

전등사 산사 음악회 20231007

얼마 전 전등사에서 산사 음악회가 열린다는 것을 지나가던 길에서 보게 되어 산사 음악회에 한번 가보고 싶은 충동이 와서 관람하게 되었다 ㄴ이날의 첫째주 토요일이어서 일단 아침 일단 하루 낮의 급한 농사일을 마친 후 오후 7시부터 시작 한다고 하여 저녁을 전등사 오르기 전 유명한 꽁보리밥 (1인분 9천 원) 집에서 저녁을 먹고 나니 오후 7시 반이다 식당에서 나와 전등사로 가기 위해 도로를 건너 주차장으로 오르는데 어둑 어둑 하기 시작한다 우리가 오르는 전등사를 애어쌓고 있는 남문 방향으로 오르는데 주차장에서 나오는 인파와 들어가는 이파가 많아 안내하는 운영용원들이 안전하게 안내를 한다 난생처음 산사음악회는 처음인데 남문으로 오르는 길은 조명이 조금 어두 었다 그래도 우리는 이미 산사음악회에서 내려오는 이..

사찰방문기 2023.10.19

장엄사 (인천시 강화군 화도면 흥왕리 소재) 20231015

나는 고향 강화에 살면서 장엄사(대한불교 태고종)라는 사찰을 1주일 전 강화 온수리 지역을 통과하다가 플래카드가 걸려있는 것을 보고 처음 알게 되었다 전등사 사사음악회는 여러 번 플래카드를 걸려있는 것은 매년 며차래 보았지만 장엄사라는 곳에서 장엄사 산사음악회가 열린다는 내용을 처음 알았기에 화도면 흥왕리 소재 장엄사를 가보고 확인하고 싶었다 화도 선수 포구가 있는 화도면 내리에서 시작하는 강화남단 바닷길로 이어지는 길로 티맵이 알려 주기에 강화 남던 갯벌을 옆으로 하여 넓게 펼쳐진 강화 남단 황금 갯벌이 오후 햇빛을 받아 반짝이는 갯벌을 우측으로 보면서 매년 해넘이 축제가 열리는 지역을 지나 조금 더 동막 해수욕장으로 가보니 화엄사라는 석재 안내판이 좌로 되어 마을 산길을 3분 정도 오르니 화엄사 주차..

사찰방문기 2023.10.16

내소사 방문기 20230311

내 변산 산행을 갔다가 관음봉에서 세 봉으로 하여 마지막으로 내소사를 방문하게 되었다 내소사는 86년 여름 휴가에 가족들과 호남고속도로를 달려 새벽 5시경에 찿아던 사찰이다 지금으로부터 37년 전이다 그때 새벽에 주차장에 차를 대고 바로 매표사가 있는 곳으로 들어갔을 때는 바로 사찰천황문이였는데 지금은 많이 달라져 있었다 잠시매표소에서 입장료 4,000을 내고 전나무가 이어진 숲길을 지나서 걸어오라가니 사천왕 전각이 나온다 문으로 들어서니 죄우에 사천왕 목상이 눈을 부릅뜨며 나의 마음을 압도한다 그리고 새롭게ㅔ 색이 되었는지 사천왕상 색상이 참 화려하다 디금본 사천왕상들 중 제일 화려한 것 같다 이어서 간단한 참배를 하고 더 오르니 커다란 고목 느티나무가가 수령 1000년을 넘게 버티고 있다 나무 주변의..

사찰방문기 2023.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