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벌의 생태와 번식
글쓴이: 일 학년
조회수 : 5
08.02.17 09:55
http://cafe.daum.net/kbj1016/6Hat/71



봉군의 구성 : 벌들은 무리생활을 하며 한무리의 벌떼에는 1마리의 여왕벌과 다수의 일벌이 있어야하며 분봉이 이루어지는 늦봄과 여름철에는 숫벌도 무리에 끼어 생활한다.
◎ 여왕벌 : 여왕벌의 임무는 알을 낳는 일이며, 이것은 여왕벌만이 할 수 있는 일이어서 그 무리의 흥망성쇠를 좌우하는 위치에 있다. 아무리 벌무리가 많아도 만약 어떤 이유로 인해 왕이 없어지고 이것이 장기화되면 결국 그 봉군은 망하게 된다. 그래서 봉군내에서는 일벌들이 여왕벌을 잘 보호하고, 따르며 그 하는 일을 잘 보좌한다. 한 무리의 벌에는 한 마리의 여왕벌만 존재하게 되는데 분봉철이 되어 후계자를 양성하려면 일벌들이 왕대를 짓고 여왕벌이 여기에다 산란을 한다. 여왕벌이 산란한지 16일이 지나면 새 여왕벌이 태어나는데 주로 분봉이 많이 되는 늦은 봄과 여름철에 태어난다. 이렇게 태어난 여왕벌은 7-10일이 지나면 밖으로 나와 숫벌과 교미를 하고 교미를 마친후 2-3일 후부터 산란을 시작한다. 봄철에 가장 많이 산란을 하는데 하루에 2000~3000개나 되는 많은 수의 알을 낳으며 한 마리의 여왕벌은 100만개 내외의 알을 낳을수 있다고 한다. 여왕벌의 수명은 3~4년 정도가 보통인데 1~2년생 여왕벌이 산란이 가장 왕성하다. ◎ 일벌 : 일벌의 체구는 여왕벌이나 숫벌에 비해 적은데 벌통 내외에서의 모든 작업을 도맡아 하며, 여기에 적합하도록 날개나 다리가 잘 발달되어 잇다. 한무리의 봉군에는 다수의 일벌이 존재하며 작을 때는 만마리 이하, 많을 때는 수 만마리의 벌이 무리를 이루어 서로 협력하여 여러 가지 일을 한다. 집짓기, 꽃꿀과 화분, 물을 수집하고 이것을 가공하여 유충을 기르는 일, 보온과 환기, 습기와 온도조절, 해적에 대한 방어, 벌통내의 청소, 여왕벌의 보좌등이 모두 일벌의 일이다. 일벌은 산란한지 21일만에 태어나며 태어난지 1~2일은 자신이 태어난 벌 방을 청소하는 일을 주로 하고, 출방 후 3일째부터는 유충에 대한 먹이를 공급하는데 꿀과 화분을 유충들의 방에 넣어준다. 출방한지 6~7일 경이 되면 인후선에서 왕유를 분비하여 유충과 여왕벌에 공급한다. 출방 후 2주 정도가 지나면 왕유 분비기능은 다 없어지고 이때부터 밖에 나가 일을 하기 위해서 벌통 익히기와 연습비행을 하며서 다른 외역봉이 수집해 온 꿀이나 화분의 가공. 정리 및 저장, 벌통 내부의 청소, 벌집짓기 등에 종사한다 . 18일 이후가 되면 밖에 나가 화밀과 화분, 물등을 운반하는 일에 종사하며, 시기에 따르지만 대개 보름정도 바깥일에 종사하게 된다. 노동을 많이 하지 않을 때에는 4~6개월을 살고 노동이 심한 봄철이나 한달 내외의 삶을 사는 셈이다. ◎ 숫벌 : 숫벌은 일벌보다 체구가 크고 색은 검은 빛이 많이나며 벌침은 없다. 숫벌은 무정란에서 생기는데 산란한지 24일만에 태어난다. 숫벌은 벌통내에서 하느-는 일이 없으며 여왕벌과 교미하는 것이 유일한 임무인데 여왕벌과 교미한 숫벌은 생식기가 빠져나가 곧 죽게 된다. 번식, 교미철에만 존재하며(늦봄~여름, 혹은 가을), 여왕벌의 교미가 끝나게 되면 일벌들에 의해 벌통밖으로 추방된다. 원래 숫벌의 수명은 3~4개월이지만 여왕벌과 운좋게 교미를 했다고 해도 바로 죽게되고, 다른 숫벌들은 여왕벌의 교미가 끝나면 밖으로 쫓겨나기 때문에 자기 수명대로 사는 숫벌은 극히 적다. 벌무리에서 없어서는 안될 존재이지만 여왕벌의 교미가 끝나면 죽거나 추방되는 신세이니 참으로 가련한 존재라고 하겠다. |
출처 : 태기산
글쓴이 : 현견 원글보기
메모 :
'토종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처음으로 시도한 인공분봉에 대해 지적 부탁합니다. (0) | 2009.02.13 |
---|---|
[스크랩] 2월의 토종벌 관리요령 (0) | 2009.02.13 |
[스크랩] 토종벌 사육의 약군의 합봉 및 유아벌의 보충 (0) | 2009.02.13 |
[스크랩] 인공분봉 - 빈상자 이용하기 (0) | 2009.02.13 |
[스크랩] 토종벌의 생활사와 번식 (0) | 2009.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