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벌

3월 토종벌 관리

한마음주인공 2009. 1. 28. 11:10

[출처 : 토종벌 새기술]

나. 3월의 토종벌 관리


 (1) 관리중점


   - 3월이 되면 토종벌들이 출입문 밖으로 나아가 주로 꽃가루(花紛)와 물을 물어들이기 시작한다.

꽃가루와 물의 유입이 많아지면 여왕벌의 산란력(産卵力)이 높아져 유아방의 영역이 넓어진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시베리아와 양쯔강 기단의 영향을 받아 화창한 봄 날씨에서 갑자기 쌀쌀해지는 꽃샘추위와 3한 4온의 날씨가 이어진다.

이때에 유충(幼 蟲)들이 동사(凍死)하지 않도록 토종벌 보온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 사각벌통의 벌집날이 대각선으로 되어 있는 것은 이 시기에 바로 잡아 주어야 한다.


 (2) 토종벌관리


  - 출입문을 꿀벌 1마리만 통과 할 정도의 작은 크기로 만들어 준다.

  - 3월초에 주변 정리 및 대략적인 벌통 1차 내검을 실시한다.

  - 일반적으로 신선한 화분을 급이(給餌)해 주고 소량의 자극사양을 실시한다.

  - 여왕봉 3년차인 벌통은 타지역 (적어도 20km이상 이격된 곳)벌과 교체한다.

  - 구입한 벌통을 이동 안착시킨다.

  - 분봉 군 수용을 위한 예비 벌 자리를 다듬고 모든 장비를 준비한다.

  - 3월말 4월초에 벌통 2차 내검 실시로 무왕벌통을 가려 정리한다.


 (가) 내검 시 확인해야 할 사항

  - 개략적인 봉량(벌 마리수)의 추정

  - 여왕벌의 생존 여부와 산란 및 봉아양성의 진행 상황

  - 저밀량 부족 여부

  - 습기, 바닥의 오물 등 제거

  - 소충발생 및 질병감염 여부


 (나) 무왕통의 특징

   여왕벌이 없는 꿀벌집은 정육각형이 아닌 거의 원형에 가까운 큰 수 벌집을 짓고 일벌이 1개의 원형 육각형에 2개 이상 알을 낳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그리고 벌집도 두꺼운 편이다


  ◆ 정상적인 벌집과의 차이점

   산란성 일벌이 낳은 무정란은 통통하며 길이가 작고 불규칙하게 산란되며 여왕벌이 낳은  유정란은 홀죽하고 길죽한 알을 1개의 정육각형 벌집에 규칙성이 있는 배열로 산란(産卵) 을 한다.

 (다) 월동포장의 해제(解除)

   월동포장의 해제 시기는 남부지방의 경우 3월 중하순, 중부지방은 4월 상순경이 적당하 며 일시에 전부 해제하지 말고 몇 일의 시간 간격을 두고 조금씩 해제하는 것이 좋다. 일 시에 해제하여 벌통의 모양이 변화하게 되면 벌들이 자기 집을 찾지 못하고 혼란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3) 밀원식물


 따뜻한 남쪽 지방에서는 유채, 개나리, 매화, 버들, 할미꽃, 산수유, 조생종 살구꽃이 피기 시작한다.


(4) 일반적 관리


 기온이 15℃정도로 점점 따뜻해지면 벌들의 활동이 왕성해지고 유채, 살구, 복숭아, 앵두, 개나리, 벗꽃, 자운영, 사과, 배 등의 밀원이 증가하게 되는 4월이 되면 산란, 육아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빈벌통을 삽입해주어야 하며, 월동봉을 새로운 일벌과 대체시키기 위한 좋은 조건을 마련해 주어야 한다.

5월,6월 대유밀기를 맞기 위해서는 4월 초중순의 산란을 왕성하게 하여 세력이 강한 봉군을 육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가) 봄철의 토종벌 관리


 토종벌을 관리함에 있어 기본 원칙은 있으나 하나로 집약된 원안은 없다는 말이 있다.

이 말은 토종벌은 대자연의 기후 조건에 매우 민감하므로 사육지역의 기후조건과 주변 환경에 따라 절대적 영향을 받을 뿐 아니라 여러 가지 상황 변화가 발생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토종벌을 관리함에 있어서는 토종벌을 사랑하는 마음과 항상 연구하고 노력하는 추진력이 뒤따라야 한다.

서적이나 강의를 통해 토종벌관리의 원칙을 잘 습득한 다음 이를 토대로 타인의 관리 기술 등을 참고하여 자신의 토종벌 사육지역 및 기후조건 등에 맞는 관리 기술을 개발하여 새로운 자신의 토종벌 관리기술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토종벌 관리에 경험이 적은 초기에는 자신의 생각이나 이론에만 맞추어 관리 하려고 해서는 안 되며, 토종벌들의 자연, 자유, 습성 등 3대 요소를 중요시하여 토종벌관리원칙을 준수하면서 토종벌들의 3대 요소에 상응한 관리를 추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때문에 토종벌관리 기술은 원칙적인 면에서는 한가지로 집약 시킬 수가 있으나 활용면에서는 바둑수와 같이 무궁무진하다고 말 할 수 있다.

양봉(養蜂)경력 3∼4년 정도의 초보자시기를 지나 養蜂경력이 쌓여 갈수록 벌 관리가 어렵다고 하는 것은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토종벌을 관리함에 있어서는 몇 가지 유의해야 할 사항들이 있다.


 ① 토종벌 관리는 자연, 자유, 습성 등 토종벌들의 3대 요소에 상응한 기본(基本)원칙 준수

 ② 대자연의 기후조건 및 주변 환경에 절대적 영향 및 반응

 ③ 토종벌을 사랑하는 마음과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노력하는 추진력의 필요성

 ④ 토종벌을 사육하는 지역의 환경과 기후 절기에 맞는 밀원조성상태 파악과 경영 관리

 ⑤ 자신의 생각이나 이론(理論)에만 집착된 관리를 해서는 안 된다.

 ⑥ 養蜂 경력이 쌓여 갈수록 토종벌관리 및 신기술 개발에 대한 실용화와 경제성 고려


(나) 이른 봄 봉군관리의 중요 5대 요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