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방문기

서산 문수사 20250217

한마음주인공 2025. 2. 12. 15:23

문수사는 충청남도 서산시운산면 문수골길 201 (운산리 태봉리 40)에 위치하는 사찰로 문수사 금동여래좌상은 1346년에 조성된 고려후기 단어양식 불상의 대표작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지만 , 1993년에 도난당하고 그 복장 유물만 전한다 

이불상은 고려후기 단아양식의 불상을 대표하는 걸작이다. 이 불상의 복장 속에서 많은 복장물, 즉 불상 조성기, 후령통, 의복과 비단천, 경전과 다라니 등)이 발견되었다.

 

서산 문수사 상왕산문수사 상왕산 문수사 산신각 20250217

 

 

이처럼 복장유물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역사적 자료가 되고 있다 하고 고려후기라 하니 참 역사적으로도 참 오래된 사찰임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다 요 근래 서산 해미중심으로 서산의 여러 고찰을 방문하여 느끼게 되는 것은 이 지역이 예전

고구려 백제 고려  시대에 이르기 까지 이 지역에서의 큰 불심을 알게 되고 이 지역이 삼국시대부터 큰 불국토가 

아니었겠는가를 알게한다 

 

문수사 연못 20250217

 

 

불상이나 붙탑등이 이젹에 존재한다는 것이 이 지역에서의 불교의 위상이 어떠하고 그 지역 특색에 맞는

종교행위 그리고 종교행사 국태민한을 위한 이 지역의 색다른 면을 보게 된다 비록 지금은 아담한 절로 남아

현존하지만 당시에 이지역에서의 문수사는 이름만으로 불교 문수보살의 이름을 가진 데서 유래된 것을 

보아도 이곳 문수사가 큰 역사적 의의를 갖는다고 생각된다 

 

문수사 바로아래 연못이 조성된지 오래지않아 보인다 20250217

 

 

 

이곳 문수사는 4월 되면 왕겹벚꽃의 아름다움이 잘 알려져 근래에는 벚꽃을 관람하기 위해 이곳을 많이 찾는다고 

하니 추운 집금의 2월보다는 따듯한 4월 중순경에 다시 찾고 싶어진다 

이 글을 쓰면서 이근 해미지역 중심으로 많은 유명사찰이 곳곳에 산재하여 그 당시 불교의

위상을 가름하게 된다 

극락보전과 좌측 종무수 20250217

 

 

문수사 대표건축인 극락보전 20250217

 

 

 

 

이글을 쓰면서 서산 문수사에 대한 궁금한 것을 알고파서 인터넷 백과사전에 찾아보니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다

서산 문수사

200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문수사 금동여래좌상은 1346년에 조성된 고려후반기 단아양식 불상의 대표작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지만, 1993년 도난당하고 그 복장유물만 현재 전한다. 복장유물은 1973년 12월 충청남도문화재위원회에 의하여 발견 조사되었는데, 후령통과 복장물 등 고려불상 복장이 학술적으로 조사된 최초의 예이다

문수사 앞마당은 넓고 마음이 넉넉함을 느끼게 한다 20250217

 

 

 

문수사금동여래좌상(1346년 9월)은 장곡사 금동약사불상(1346년 7월)과 함께 얼굴이 갸름하면서도 체구가 단정한 이른바 고려후기 단아양식의 불상을 대표하는 걸작이다. 이 불상의 복장 속에서 많은 복장물, 즉 불상 조성기, 후령통, 의복과 비단천, 경전과 다라니 등)이 발견되었다.

 

문수사 3층석탑 소원지에 우리가족의 건강을 발원하며 소원지를 써본다 20250217

 

 

 

 

첫째, 불상 조성기들이다. 이들은 ➀미타복장발원문(彌陀腹藏發願文), ➁미타복장동원문(彌陀腹藏同願文), ➂미타복장동원문 1, ➃발원시주문(佛像造成發願) 등 네 종류이다. 먼저 미타복장발원문은 명주비단(290 ×50㎝)에 세로로 길게 아미타불상의 조성사실을 “가야산문수사당 주미타복장발원문(伽耶山文殊寺堂 主彌陀腹藏發願文)” 등으로 기록하고 있다.

 

문수사 산신각에서 본 서해노을 20250217

 

 

 

미타복장동원문은 한지(53 ×50㎝)에 “대원지정육년병술구월초팔일(大元至正六年丙戌九月初八日)” 등이 쓰여 이 불상의 조성연대를 알 수 있는 중요자료이다. 또 하나의 미타복장동원문은 명주 비단(50 ×50㎝)에 “가야산문수사당 미타복장동원문(伽耶山文殊寺堂 彌陀腹藏同願文)”이라 쓴 것으로 시주질의 일종이다. 발원시주문은 남색 명주비단(83 ×46㎝)에 주로 시주질을 쓴 것이다.

 

문수사 산신각 20250217

 

 

 

둘째, 사리목합(舍利木盒 또는 喉鈴筒, 7×6㎝) 및 일괄이다. 남색, 황색, 녹색, 황색의 한지, 명주보 등 5겹으로 후령통 이른바 사리합을 쌌는데, 이 합 안에는 은제 사리통(1.7㎝)과 통 안에 사리 1과, 건반, 유리구슬, 백동경, 쌀 3알, 콩 3알, 침향, 기장, 웅황, 피, 정향, 감초 등이 각각 명주보에 싸여 있었다. 이것은 이른바 사리통 안에 들어간 5 약 5곡 등 사리일괄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싼 보나 한지에는 시주질이 각각 쓰여 있어서 복장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동령도 발견되었다.

문수사 극락보전 건축기둥에서 역사의 흐름을 알게한다 20250217

 

 

 

 

셋째, 의복[短袖袍衣]이 나왔는데 모시로 만든 짧은 소매의 긴 저고리(120 ×35㎝)로서 고려 복식 연구에 귀중한 예로 평가되고 있다.

넷째, 불교전적이 다량 발견되었다. ①구역인왕경 상(舊譯仁王經上), ②의천속장경간기(義天續藏經刊記, 1095년), ③고왕관세음경(高王觀世音經), ④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⑤오대진언(五大眞言), ⑥미타복장입물색기(彌陀腹藏入物色記), ⑦대화수경(大華手經, 1287년), ⑧불정방무구광명다라니경(佛頂放無垢光明陀羅尼經)과 다라니 진언 등 전적류가 많이 발견되었다. 이 가운데 구역 인왕경은 고려 당시의 구결(口訣) 연구에 귀중한 예로 크게 주목되며, 속장경간기 등도 매우 귀중한 불교전적이다.

 

문수사극락보전 안내문 20250217

 

 

문수사 금동여래좌상의 복장 속에서 발견된 복장물은 당시 동국대학교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었기 때문에 현존하고 있는데, 고려 후기의 복장형식뿐 아니라 고려구결, 복식과 비단, 불교전적 연구에 있어 귀중한 예이다.

 

문수사 맥목련 20250217

 

문수사 3층석탑 주위엔 새해 소망지가 걸려있다 20250217

 

문수사 고염나무 여직것본 고염나무종 초고령 고목나무 300년 이상 된다함 20250217

 

서산 문수사 종무사 외벽에 걸려 있는 공양의의미 20250217

 

공양의의미

1. 향공향  : 화합, 업장소멸

2. 차공양 :마음을 안정

3. 꽃공양 :장업, 성취

4. 과일공양:인과태평

5.(미(곡식공양) 오복, 경전

6. 범공양:무량성취

7. 사경공양:재앙소원

8. 복전공양 복덕구ㅊ족

9. 떡공양:원망성취

10. 인등공양상경, 건강

11. 미역공양:자손장성

12. 국수공양:백년해로

13초 공양:지혜 총명

'사찰방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광사 20250221  (0) 2025.02.26
서산 동문동 당간지주 20250221  (0) 2025.02.26
봉은사 202501125  (0) 2025.01.29
봉은사 202501125  (0) 2025.01.28
천장사 (서산)방문기 20250117  (0) 2025.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