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지인 형님 김경수님이 카톡으로 &&& 의사가 본 받아야 할 링컨 대통령 &&&라는 글을
주셔서 사진첨부 정리 작은별밭과 함께 합니다
의사가 본 받아야 할 링컨 대통령
죽어가는 병사의 임종을 지킨 대통령
존경받는 삶을 산다는 것은 참 어렵습니다. 존경심은 돈, 권력으로 살 수 있는 아니고 오직 진심이 바탕이 된 따뜻한 배려의 인품과 자기희생에 의해 저절로 우러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미국 역대 대통령 중에 가장 위대한 인물로 추앙 받고 있는 에이브라함 링컨(1809~ 1865)은
미국의 남북 전쟁이 한창일 때 자주 부상을 당한 병사들이 입원해 있는 병원을 방문했습니다.
한 번은 의사들이 심한 부상을 입고 거의 죽음 직전에 있는 한 젊은 병사들에게 링컨을 안내했습니다. 링컨은 병사의 침상 곁으로 다가가서 물었습니다. “내가 당신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이 뭐 없겠소?” 그 병사는 링컨 대통령인 것을 알아보지 못했습니다.
그는 간신히 이렇게 속삭였습니다. “저의 어머니께 편지 한 통만 써 주시겠어요?” 펜과 종이가 준비되자 대통령은 정성스럽게 젊은이가 말하는 내용을 적어 내려갔습니다.
“보고 싶은 어머니, 저는 저의 의무를 다하던 중에 심한 부상을 당했습니다. 아무래도 회복되지 못할 것 같군요. 제가 먼저 떠나더라도 저 때문에 너무 슬퍼하지 마세요. 동생 존과 메리에게도 저 대신 입을 맞춰 주시구요. 하나님께서 어머니와 아버지를 축복해 주시기를 빌겠어요.” 병사는 기력이 없어서 더 이상 얘기를 계속할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링컨은 젊은이 대신 편지 말미에 서명을 하고 이렇게 덧붙였습니다. <당신의 아들을 위해 에이브라함 링컨이 이 편지를 대필했습니다.> 젊은 병사는 그 편지를 자기에게 좀 보여 달라고 부탁했습니다. 그는 마침내 편지를 대신 써준 사람이 누구인가를 알고는 깜짝 놀랐습니다.
병사가 물었습니다. “당신이... 정말로 대통령이신가요?” 링컨이 조용히 대답했습니다. “그렇소. 내가 대통령이오.” 그런 다음 링컨은 자신이 할 수 있는 다른 일이 없는가를 그에게 물었습니다. 병사가 말했습니다. “제 손을 잡아 주시겠습니까? 그렇게 하면 편안히 떠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조용한 실내에서 키가 크고 수척한 링컨 대통령은 청년의 손을 잡고 그가 숨을 거둘 때까지 그에게 따뜻한 용기의 말들을 나직하게 들려주었습니다.
이 일화는 The best of bits & peaces에 소개된 내용으로 읽는 이로 하여금 마음의 따뜻함과 편안함, 훈훈함을 느끼게 합니다. 한 나라의 대통령이 국가를 위해 싸우다가 부상당한 병사들이 입원한 병원을 자주 방문한다는 것이 쉽지 않은 일입니다. 거기다가 대통령이 직접 환자와 더불어 이야기를 나누면서 자신이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가를 찾아서 도와주며, 편안히 세상을 떠날 수 있도록 최후의 순간까지 손을 잡고, 따뜻한 위로의 말을 건네주는 인간적인 모습은 정말 훌륭한 일이며 부럽기까지 합니다.
지도자의 인간적인 훌륭함은 존경심을 갖게 합니다. 링컨 대통령의 훌륭함을 가슴깊이 다시 한 번 깨우치게 합니다. 국민의 존경을 받는 인격과 인품을 가진 국가 지도자 분들이 미국을 강대국으로 만들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사랑하고 존경하는 의사선생님들, 그리고 곧 의사선생님 호칭을 듣게 될 의대생 여러분! 무엇보다도 여러분들이 정성을 다해서 일할 곳은 환자 곁입니다.
환자분들에게 희망을 주시고, 용기를 주시고, 삶의 힘을 더해 주십시오. 그럴 때에 국민과 환자분들은 여러분을 더욱 존중할 것이며, 멋진 선생님으로 모실 것입니다. 선생님이라는 영광스런 호칭은 아무나 받는 것이 아닙니다. 현실로 보면 어차피 의대생 증원은 불가피하지 않습니까?
일단 국가의 정책을 수용해 주시고, 차후의 증원 방안에 대해서는 대화를 하면서 개선하면 좋겠습니다. 역대 정권에서 30년 동안 못한 의료개혁을 이번 기회에 정부와 의료계 종사자분들이 함께 실현하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의견을 전달하기 위해 단체 데모를 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볼 수 있겠지만, 국민과 환자의 입장에서 볼 때에는 의사선생님들과 미래에 의사선생님이 될 의대생들 여러분께서는 우선 환자 곁으로 돌아와 주시기를 바랍니다. 거룩한 흰 가운을 입고서 인술(仁術)과 의술(義術)을 베푸시는 여러분들이 되어주시기를 바랍니다.
'좋은글,좋은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홀수 문화" (0) | 2024.03.20 |
---|---|
♡♡"편지 한 장 남기고 떠난 두 수녀님들♡♡ (1) | 2024.03.19 |
2024년 3월 19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0) | 2024.03.19 |
** 누룽지 할머니의 감동을 주는 善行이야기 ** (0) | 2024.03.19 |
🔴 재미있는 이야기 6개 🔴 (1) | 2024.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