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이글은 |
| |
|
가축을 기를려면 축사가 있어야 합니다. 벌의 축사는 벌통입니다. 토종벌통은 재래식을 많이 쓰는데 이것은 통나무를 속을 파내고 아래쪽에 벌의 출입구를 만든 다음 세워서 뚜껑을 덮으면 됩니다. 뚜껑은 참나무(상수리나무) 껍질을 벗겨 말려서 사용하는 것이 좋지만 조그마한 바가지를 사용하기도 합니다.이 뚜껑에 분봉되어 나와 나무나 바위 밑에 뭉쳐있는 벌을 붙여서 통에 집어 넣으면 되는데 이때 여왕벌이 반드시 벌의 무리 속에 포함되어야 합니다. |
벌이 아무리 많아도 여왕벌이 없으면 곧 흩어져 버리고 맙니다. 개량형은 송판을 가로 7치, 세로 1자,두께 1치로 잘라 4개를 붙여서 4각통을 만들고 이통을 얹을 받침은 1.5치정도의 각목을 길이 7치로 4개 만들어 3개를 이어 붙인 다음 통을 얹고 하나는 벌의 출입구로 밑을 조금 파낸 다음 빈 부분에 끼우면 됩니다.뚜껑은 재래식처럼 하면 되지만 구하기 어려우면 두꺼운 골판지나 박스를 여러 겹으로 접어서 만듭니다.주의할 점은 출입구가 너무 크면 외적을 방어하는데 어려우므로 벌이 3마리가 동시에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작게 만들어야 합니다. 이것은 벌통의 환경에 좌우되는데 인위적인 것 보다는 자연상태를 최대한 유지 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장소는 햇빛이 잘 드는 양지 쪽으로 바람이 없는 방향으로 입구를 만듭니다.여름에 기온이 너무 올라가면 그늘을 만들어 주고 겨울에는 보온덮개로 싸서 추위를 막아 줍니다. 분봉할 때 산이나 숲으로 날아가서 야생 벌이되는 경우가 있지만 주위 환경과 조건이 맞지 않으면 대부분 죽어 없어집니다. 야생 상태에서 토종벌이 생존하는 일은 거의 없고 대부분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것들이지요.
| |
|
다른 꿀벌과 마찬가지로 토종벌은 떼를 지어 단체생활하는 사회성 곤충이기 때문에 한 봉군의 유지를 위해 반드시 지녀야 할 봉군으로서의 기본습성이 있습니다. |
그러므로 하나의 봉군이 둘로 나누어지는 분봉을 위해서는 새 여왕벌의 양성이 선행되어야 하며 여왕벌이 없어지면 변성왕대를 만들어서라도 새 여왕벌을 양성하려는 것이 봉군이 지닌 고유의 습성이지만 토종벌의 경우 변성왕대는 절대로 성공하지 못하고 봉군이 없어지고 맙니다. 토종벌의 행동과 습성은 항상 소를 희생하여 대를 위한 행동을 하며 새로운 밀원을 발견하면 다른 동료들에게 이를 빨리 알려 보다 많은 화밀과 화분을 수집하려는 습성이 있고 외적의 침해를 적극적으로 방어하여 자기 집을 보호하려는 습성이 강하고 갑작스런 재난으로 봉군이 멸망 상태에 빠지는 지경이라도 여왕벌만은 가장 안전한 곳에 모셔 여왕벌의 안전을 끝까지 지킵니다.
여왕벌은 계속 알을 낳고 일벌들은 계속 새끼 벌을 키우며 지속적인 번영을 위해 주어진 공간이 제한을 받았을 때는 새 여왕벌을 양성, 분봉을 통해 봉군이 번영을 꾀할 뿐만 아니라 여왕벌이 갑자기 사라지면 변성 왕대를 만들어 새 여왕벌의 양성을 꾀하기도 하고 여왕벌이 노쇠하여 종족의 보존 또는 번영에 지장을 초래할 염려가 있을 때는 과감히 후계 여왕벌을 양성하려는 습성이 있습니다.
| |
|
농사에 각종 병,해충,잡초 방제를 위해 농약 사용량이 급증하면서 벌의 농약피해가 크게 늘고 있어 농약 피해로부터 벌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일은 대단히 중요하게 되었습니다. |
벌의 농약 피해 발생원인은 벌이 활동중일 때 농약을 살포하여 직접 접촉되거나 농약에 오염된 논물이나 이슬을 운반해 들였을 때, 농약이 오염된 꿀이나 화분을 수집해 들였을 때입니다. 주로 과수원 농약살포,논 농약살포, 밭 작물 농약살포, 산림농약살포 특히 과수원이나 밭작물 개화기 농약 살포에 피해가 크고 아카시아 나무 개화기간 중 항공살포하였을 때는 치명적으로 큰 피해를 당합니다. 농약의 종류는 살충제, 살균제, 제초제를 합하면 그 종류가 무척 많지만 이들 중 벌에 피해를 주는 농약은 대부분 살충제이고 유기인계 살충제에 의한 피해가 많으며 중독된 일벌들은 방향 감각을 잃고 대부분의 경우 배가 똥똥해져 몸부림치며 땅에서 뒹굴고 비벼대는 모습을 나타냅니다. 점차 몸 전체가 마비되면서 죽어가는데 일부는 벌통 바닥에서,일부는 문 근방에 나와 죽어가고 토하는 증상,배가 똥똥하게 부푸는 증상이 특징입니다. 그러나 벌의 농약피해는 법적제도로 완전히 해소할 수는 없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농약 살포의 사전통보를 받았을 때 문을 차단하거나 꿀벌에 안전한 농약을 선택하여 뿌리는 일들인데 농약 살포자와 긴밀한 협조가 필요합니다. |
'토종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종벌 밀원 (0) | 2008.10.07 |
---|---|
토종벌 사양 관리 (0) | 2008.10.07 |
토종벌 사육관리 (0) | 2008.10.07 |
[스크랩] 토종벌 꿀따기 (0) | 2008.10.07 |
[스크랩] 토종벌꿀 맛 좀 볼래 (0) | 2008.10.07 |